경기전기교육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기소식

> 커뮤니티 > 전기소식



강원 산불에서 살펴보는 전력계 ‘명과 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19-04-17 16:26:37 조회269회

본문

 

강원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지역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었고, 인근 시민들 역시 불안에 몸을 떠는 밤을 보내야 했다.
행정안전부 산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4일부터 사흘간 강원도를 태운 이번 산불로 인해 총 479채의 주택이 불에 탔으며, 총 829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번 화재는 전기 분야 대형 재난 상황의 대처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화재 발생 이틀 만에 정전가구 복구를 마무리하는 등 빠른 대처를 통해 국민들의 안정적인 전기사용 환경을 지원했기 때문이다.
반면 전력설비 안전에 대한 우려는 깊게 남긴 화재다. 한전의 배전 유지보수 예산 삭감 등 안전관리 체계에 대한 불안이 언제든 이번과 같은 사고를 다시 발생시킬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형재난에도 즉시 대응태세 ‘눈길’
이번 대형 산불 사고에 이어 한전 등 전력산업계의 발 빠른 대처는 화재를 지켜보는 이들의 엄지를 ‘척’ 하고 세울 정도였다는 평가다.
한전 강원본부는 4일 고성‧속초 산불 발생소식을 접한 뒤 본부장 이하 비상요원으로 구성된 긴급상황실을 속초지사에 마련, 5일부터 본격적인 복구작업에 돌입했다. 이번 현장복구를 위해 투입된 인원은 한전직원과 협력업체를 포함해 250여명이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로 산불발생 이틀 만에 산불지역 내 정전가구 전체를 복구하는 성과를 냈다. 시민들의 정전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했다는 것.
한전은 7일부터 산불대응 비상대책본부로 직제를 변경해 운영하고 있다.
전기안전공사 역시 감전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복구 지원을 위해 총력을 다했다. 4일 화재 발생과 동시에 한전과 마찬가지로 강원 지역 내 50여명의 직원을 투입해 대응캠프를 설치, 잔불정리 현장에서 위험시설로 인한 정전 등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현장 조치에 나섰다.
아울러 직접 조치할 수 없는 부분들은 한전과 공조해 빠르게 개선했다.
또 전소가구의 인입선 등 설비 안전 확보를 위한 활동을 벌였다는 게 전기안전공사 측의 설명이다. 아울러 일부 피해가구는 전기설비 점검 뒤 개선을 실시했다.
이와 관련 5일 197가구를 점검하고 113가구의 시설 개량활동을 추진했다. 아울러 주말 동안 지속적으로 점검활동을 벌여 39가구를 점검, 6가구의 위험 설비를 개선했다.
이후 대피소 등의 전기설비 점검을 통해 이재민들이 안전하게 전기를 쓸 수 있도록 지원했다. 강릉 화재 역시 44호를 점검, 5가구 점검을 완료했다.
이번과 같은 신속한 대응은 최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 직원이 산불 위험 기간을 대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게 한전과 전기안전공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전 직원이 안전에 대한 인식을 갖고, 각자 맡은 바 임무를 숙지하고 있었다는 것.

◆산불사고 탈원전 등 정쟁이 아닌 기술적 원인 찾아야…화재 위험 우려 높여
한전은 이번 산불과 관련 최초 발화지점에서 아크가 발생, 개폐기와 고압전선이 연결된 리드선에서 불씨가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화재 원인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자세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최초 발화점이 한전의 배전설비로 추정되면서 일각에선 이를 탈원전 정책과 연계해 한전의 적자가 투자비 축소로 이어져 제때 설비를 교체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단순히 비교해 보면 올해 책정된 예산은 최근 10년간 예산이 가장 많았던 2017년과 비교해 4400억원가량 줄었지만, 이를 두고 예산축소로 인한 노후설비 교체로 지적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표 참고>
한전이 밝힌 최근 10년간 배전설비 유지보수 투자비 집행실적을 보면 지난 2015~2017년까지 매년 1조 7000억원 이상씩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졌고, 노후설비 교체가 대략 마무리되면서 2018년부터 20% 가까이 줄어든 상황이다.
설비유비 보수 비용은 주기를 타고 일정 연도에는 설비 교체물량이 많아 예산이 늘었다가 설비교체가 마무리되면 예산이 줄어드는 상황을 반복한다.
이는 설비의 수명과도 연관이 높기 때문에 특정 연도에 예산이 많이 집행됐다면 한동안은 평년 수준을 유지한다.
또 우려되는 것은 이번 산불의 원인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변질돼 정쟁의 수단이 되면서, 이는 정확한 사고원인을 찾는 데 오히려 방해요인이 된다는 의견도 나온다.
설계 시공분야 한 전문가는 “사고 발화지점의 영상을 보면 불꽃이 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현장의 영상을 봤을 때 개폐기에 연결된 리드선이 왜 단선됐는지 등 다양한 원인을 찾기 위해 전문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전문가도 “예산부족으로 수명이 다한 설비를 제때 교체하지 않았거나 하는 식의 접근보다는 근본적으로 시공방법, 설계상의 문제 등 기술적 접근이 있어야 원인을 정확히 찾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대원 기자

< 출처 : 전기신문 http://www.electimes.com/article.asp?aid=1554707013176925101 >  



상단으로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317( 교동 45-13) | 대표전화 031-886-6666 | 팩스 031-886-4500 | gyung8866@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659-81-00460 대표 : 김태진

Copyright © g7.or.kr.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