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BIXPO 2022서 ‘기자재 조달방향 정책공유회’ 개최
한전 협력사 제조역량 및 품질·기술 제도 대폭 강화
친환경 기자재 전환·ESG경영 실천 업체에 인센티브 확대
한전, “업계에 글로벌 기술 및 품질경쟁력 확보 필요” 당부
한전의 탄소중립 시계가 빨리 돌아가고 있다.
이에 한전은 에너지 부문의 배출량이 전체의 87%를 차지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고려해 전력기자재 업계가 친환경 노력에 한층 가속도를 붙여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한전은 지난 4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BIXPO 2022에서 중소기업중앙회, 전력 기자재 제작사 및 조합 대표 등 2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기자재 조달방향 정책공유회’를 개최했다.이날 행사에는 친환경 전환 및 품질향상 제고 방안, 전력 기자재 공급망 고도화 방안 정책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이정복 한전 상생관리본부 본부장은 인사말을 통해 “전력 자재를 공급받는 한전 입장에서 선행적으로 여러 정책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는 협력사의 안정적인 품질, 공정 활동에도 도움을 주는 길”이라며 “또 조달제도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여러 환경 속에서 패널티성 정책보다는 인센티브 정책에 중점을 두고, 협력사와 함께 호흡하고 정책 공유를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내년도에는 최소한 분기별 한번은 정책간담회를 진행하겠다고 약속했다.김숙철 한전 기술혁신본부 본부장도 “우선 한전의 전기 품질이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하도록 기여해 준 국내 기자재 업체들에 감사하다”며 “이제는 더 나아가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친환경 자재로 가야하는 큰 흐름에 서 있다. 특히 국내 시장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글로벌 기업과 경쟁할 수 있도록 이 자리에서 같이 머리를 맞대고 허심탄회하게 방향을 찾고 해결해나가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이날 발표한 한전의 친환경 전력기자재 로드맵에 따르면 우선적으로 한전은 조달분야 탄소중립 선제적 대응을 위한 3대 추진 방향을 수립하고, 친환경 전력기자재 구매비율을 2030년까지 50%(약 1조5000억원), 2040년까지 100% 조기 달성(약 5조3000억원)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기자재 성능향상을 위한 중장기 기술 목표로는 배전 분야 개폐기의 경우 ▲시험등급 상향 ▲에폭시 최소화(40%→0%), 변압기는 ▲최저 효율기준 강화 ▲식물유 적용 확대(3%->50%), 송변전 분야 변압기는 ▲식물유 적용(생분해도 25%→98%), 2023년 154kV 식물유 개발 및 2026년 345kV 식물유 개발을 목표하고, 케이블은 ▲송전용량 100%→112% ▲온실가스 저감 100%→119% ▲2024년 친환경 케이블 개발, 2025년 실증 및 시범 적용, 2026년 확대 적용 등을 계획하고 있다.
협력사들의 친환경 제품 개발을 독려하기 위한 계약 분야 규제 혁파와 제도 혁신안도 공개했다.여기에는 친환경 기자재 공급자 인증 비용을 지원하고, 특히 친환경 전력 기자재 개발 비용을 가격에 반영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또 환경성적표지 인증업체는 적격심사 시에는 가점을 주는 제도도 신설했다.이와 함께 ESG 경영 평가도 강화된다. 전 지구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 사회 움직임에 따라 국내 전력시장에서도 탄소중립과 ESG경영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핵심의제가 됐다. 특히 한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7년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 추세지만, 전력그룹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국가 전체의 26%를 차지하고, 에너지 부문은 전체 배출량의 87% 수준으로 전력 업계 탄소중립이 시급한 상황이다.이에 한전은 ESG 기반 5개 평가항목 중점 심사에서 기존 설비, 인력, 품질 위주의 심사에 환경·안전, 노동·인권, 윤리경영 등을 추가했다. 또 ESG평가기준을 신설해 단계적으로 강화해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더불어 ESG 기반 5개 항목을 종합평가해 결과에 따라 인센티브 또는 페널티를 부여한다는 계획이다.또 불량품 납품 예방을 위한 신품목 품질향상 방안도 대폭 강화됐다.
설계 및 시험공정은 전 기자재 필수공정으로 지정됐고 배전 주요 기자재 중 ▲변압기는 설계, 절연지 가공, 권선, 철심 가공, 소둔, 건조, 조립, 시험이 필수공정으로 지정됐지만, 아몰퍼스 철심가공 공정은 업계 요청에 따라 지정 여부가 검토 중이다.
개폐기·차단기는 개폐기 핵심부품인 부싱의 성형 불량 고장률이 높아 필수공정에 성형이 추가됐다.
전력량계는 최근 5년간 전력량계 리콜의 80%가 S/W(소프트웨어) 불량인 만큼 S/W 설계 능력 검증이 강화됐고, PCB 부품실장 조달 시에 불량품 사전 검출을 위해 부품 검사도 필수공정으로 지정됐다. 특히 AMIGO에 한해 인력 변경 시 S/W 설계이해도 평가도 시행된다.
앞으로 검수 불합격에 의한 계약 해지가 발생하면 유자격도 취소된다. 한전은 기자재 공급자 유자격 충족 여부의 검증을 위해 ‘기자재 공급자 수시심사제’를 도입하고, 기존에 계약 해지에 그쳤던 2, 3차 동일 납품계약 단위 납품검사 불합격 시 유자격도 함께 취소한다는 방침이다. 성능확인 시험은 1회만 불합격돼도 유자격이 취소된다.
대신 고품질 기자재 업체에는 납품 물량을 최대 10%에서 20%수준까지 확대해 업체들의 기술개발 의욕을 북돋워준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이밖에도 한전은 협력사 R&D를 강화하고, 지난해부터 매년 10%씩 불량률 감축 목표도 설정했다.
그러나 이날 행사에서는 한전이 공개한 로드맵의 불확실성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한 개폐기 업체는 “최근 한전의 개폐기 규격이 수시로 바뀌는 등 추진 과정이 원활하지 않았다”며 “이번 친환경 로드맵에서는 공식적인 자리를 통해 규격을 미리 만들어 놓고, 제품 납품을 요청해야 업체들이 수준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친환경 제품 규격화를 빨리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한전 배전계획처 배전기기부 관계자는 “일반형 개폐기 규격 설정 과정에서 많은 업체 의견을 청취하려다 보니 잡음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기자재 조달방향 정책공유회는 총 2부로 나누어 진행됐으며, 1부는 ‘친환경 전환 및 기술·품질 제고방안’을 주제로 ▲친환경 정책 및 계약제도 개선방안(자재처) ▲기술·품질목표 및 이행방안 로드맵(기술품질처) ▲‘글로벌 탄소중립 동향 및 한전의 탄소중립 방향(탄소중립전략처) 등이, 2부에서는 ’전력기자재 공급망 고도화 방안‘을 주제로 ▲협력사 제조역량 향상 방안(자재처) ▲기자재 품질체계 혁신방안(기술품질처) ▲협력사 ESG 경영 지원·유도 방안(자재처) 등이 발표됐다.
출처 : 전기신문 강수진 기자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1046)